
2024년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재정과 지방의회 감시를 중심으로 주어진 과제를 연대를 통해 수행하는 한 해 였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시작한 밑빠진 독상은 '검찰 특수 활동비'를 수상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시민행동의 대표적인 브랜드 사업으로 지속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지방의회 감시와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한 개선과 모니터링을 지속하였으며, 연대사업을 통해 서울시의회에 관한 3년차 모니터링을 완료하였습니다. 시민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사업도 오랜만에 진행되었으며, 향후 시민행동의 정기적인 교육 사업으로 이어갈 예정입니다. 연말 12. 3.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계엄정국하에 함께하는 시민행동 또한 공동대표단과 상황실에 결합하여 비상계엄과 내란극복을 위한 활동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뉴스레터를 통해 회원분들에게 부족하마나 꾸준히 단체 소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통이 더욱 단단한 회원구조를 만드는 가시적 성과를 보이지는 못하였지만, 조금이라도 회원분들과 시민분들이 시민행동과 가까워질 수 있는 마중물이 되었습니다.
📢 주요 사업 보고
📃‘밑빠진 독상’을 매개로 주요 예산이슈 공론화
사업내용 | 2024년 ‘밑빠진 독상’ 수상 진행 - 3.3 ‘납세자의 날’의 상징성을 살려 2024년 ‘밑빠진 독상’ 수여
- ‘검찰 특활비’ 활동의 문제를 연대단체와 공동진행
2025년 밑빠진 독상 수여를 위한 후보 선정 - 지방소멸대응기금(운영위원 제안)
- 교육 재정 관련 예산(시민예산학교 참여자 제안)
- 한강리버버스(Watch 활동 관련)
- 퇴직연금 운영관련(민간 위탁 운영 관련 내용)
|
사업성과 | 밑빠진 독상 사업 브랜드 사업화를 위한 재개 연대사업, 교육 활동 등 주요 활동과 연계하여 밑빠진 독상 대상 발굴 시도 |
📃2024년 지방의회 의정감시 활성화 및 네트워크 구축
사업내용 | 아름다운 재단 변화의 시나리오 사업 선정 - 사업 기간 : 2024년 3월 ~ 12월
- 총 사업비 : 18,945,000
- 주요 사업 내용 : 지역별 간담회, 지역 의정 활동 조사, 의정감시 매뉴얼 제작
전국 지자체 의정 활동비 및 의정 비용 정보공개 청구 진행 - 의회예산 중 의정비 관련 내용 청구
- 의정활동비, 월정수당, 여비, 정책개발비 등
- 의정비용을 통한 연구결과 및 해외연수 관련 자료 전수 청구
|
사업성과 | 의정 활동 평가 및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 확보 |
📃 주민중심의 지방자치, 시민이 바라던 바다
사업내용 | 9회 교육 진행 : 6월 4일 ~ 7월 4일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강의실) 성과공유회 : 7월 18일(목) 19:00 교육자료 발간 : 6강(김태일 대표 강의안 중심)에 대한 교육자료 발간 |
사업성과 | 9회 교육 진행, 연인원 115명 참석 / 수료 인원 7명 시민행동이 진행하는 예산강의에 대한 시민요구가 확인. 기초 및 심화교육에 대한 요구 확인 |
📃 서울 Watch 연대 활동
사업내용 | 2025 서울시 예산안 토론회 참석 2024 서울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시민의정감시단 활동 - 2024년 10. 4 ~ 10.25 의정감시단 모집
- 감시단 참여자 : 150명
- 감시단 활동 : 2024. 11. 2 ~11. 30
|
사업성과 | 시민의정감시단 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필요성 확인으로 전년도보다 참여숫자 확대됨
|
조직운영 및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조직 운영 및 사업평가서
🔊 2024년 사업 감사보고서는 2025년 총회에서 선출되는 감사를 통해 진행 후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제출할 예정입니다.
2024년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재정과 지방의회 감시를 중심으로 주어진 과제를 연대를 통해 수행하는 한 해 였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시작한 밑빠진 독상은 '검찰 특수 활동비'를 수상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시민행동의 대표적인 브랜드 사업으로 지속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지방의회 감시와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한 개선과 모니터링을 지속하였으며, 연대사업을 통해 서울시의회에 관한 3년차 모니터링을 완료하였습니다. 시민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사업도 오랜만에 진행되었으며, 향후 시민행동의 정기적인 교육 사업으로 이어갈 예정입니다. 연말 12. 3.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계엄정국하에 함께하는 시민행동 또한 공동대표단과 상황실에 결합하여 비상계엄과 내란극복을 위한 활동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뉴스레터를 통해 회원분들에게 부족하마나 꾸준히 단체 소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통이 더욱 단단한 회원구조를 만드는 가시적 성과를 보이지는 못하였지만, 조금이라도 회원분들과 시민분들이 시민행동과 가까워질 수 있는 마중물이 되었습니다.
📢 주요 사업 보고
📃‘밑빠진 독상’을 매개로 주요 예산이슈 공론화
2024년 ‘밑빠진 독상’ 수상 진행
2025년 밑빠진 독상 수여를 위한 후보 선정
밑빠진 독상 사업 브랜드 사업화를 위한 재개
연대사업, 교육 활동 등 주요 활동과 연계하여 밑빠진 독상 대상 발굴 시도
📃2024년 지방의회 의정감시 활성화 및 네트워크 구축
아름다운 재단 변화의 시나리오 사업 선정
전국 지자체 의정 활동비 및 의정 비용 정보공개 청구 진행
📃 주민중심의 지방자치, 시민이 바라던 바다
9회 교육 진행 : 6월 4일 ~ 7월 4일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강의실)
성과공유회 : 7월 18일(목) 19:00
교육자료 발간 : 6강(김태일 대표 강의안 중심)에 대한 교육자료 발간
9회 교육 진행, 연인원 115명 참석 / 수료 인원 7명
시민행동이 진행하는 예산강의에 대한 시민요구가 확인.
기초 및 심화교육에 대한 요구 확인
📃 서울 Watch 연대 활동
2025 서울시 예산안 토론회 참석
2024 서울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시민의정감시단 활동
조직운영 및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조직 운영 및 사업평가서
🔊 2024년 사업 감사보고서는 2025년 총회에서 선출되는 감사를 통해 진행 후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제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