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경 타임지에서 Community Service 2009를 선정했는데요. 우리 식으로 하면 사회적 기업 비슷한 개념으로 25개 기업을 선정해서 소개하는 기사를 내보냈어요.
자원활동가께서 전문을 번역해주셔서 올려둡니다.
[#M_1. RecycleBank |접기|
1. RecycleBank
지금까지 RecycleBank사는 미국 20개 주에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등록받아 지구를 살리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돈을 지급하고 있다. Columbia 비즈니스 학교에 다니던 2004년 이 사회봉사기업을 공동 설립한 Ron Gonen은 “우리회사의 계획은 재활용하는 것을 경제적으로 매력적인 것으로 바꾸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재활용 프로그램에 등록한 사람들은 재활용 용기를 받는데 이 용기에 심어져 있는 컴퓨터 칩이 자동적으로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포인트를 계산해준다. 이 포인트는 Target.com, Bed Bath & Beyond를 포함한 1500개 이상의 소매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는 일년에 약 $400까지 절약할 수 있어 소비자가 재활용에 좀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_M#]
[#M_2. Living Goods |접기|
2. Living Goods
Charles Slaughter라는 예일대 경영대학 졸업생이 에이본 레이디(화장품직접판매사원)를 지원하였을 때 그는 화장품이나 스킨로션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단지 그는 그것을 통해 경영 모델을 수집하던 것이었고,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2006년 Living Goods이라는 비영리단체를 만들어 우간다 여성들에게 영업활동을 할 기회를 주었다. 약 $50 정도의 소액자본으로 우간다 여성 판매원은 비누나 말라리아 약과 같은 우간다에 매우 필요한 물품을 싼값에 구매하여 작은 이익만을 보면서 물품을 일반 시민들에게 판매하였다. 정부의 구제나 자선 펀드는 단기적이고 변화무쌍한 반면 Living Goods의 영업방식은 장기간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조직이 우간다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력은 새로운 영업사원을 추가하는 것 이상으로 우간다 국민의 건강증진이라는 효과를 주고 있다. Slaughter는 “당신이 말라리아에 걸렸을 때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없음을 생각하라”고 말한다.
_M#]
[#M_3. Huw Kingston|접기|
3. Huw Kingston
Bundanoon는 작고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호주의 소도시이다. 하지만 지역 온천이 생수회사의 이목을 끌게 되자, 그 지역에서 자전거 가게가 딸린 카페를 운영하던 Huw Kinston이 사회운동을 시작하였다. 그는 “생수는 직업으로의 가치보다는 마케팅의 가치가 크다, 왜 생수회사가 우리지역에서 뽑아낸 물을 플라스틱 병에 담아 다시 우리에게 판매하는 것을 용납해야 하는가?”라고 말했다. Kingston씨는 Bundanoon을 세계 최초로 생수를 판매하지 못하는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9월 26일부터 그는 지역 상점에서 병에 담긴 생수를 재사용이 가능한 물병으로 교체하도록 하였다. 겨우 지역에서 12개의 상점만 참여한 아주 미약한 시도였지만, 이것은 세계 언론의 관심을 받으면서 생수산업의 문제점을 밝히는데 일조하였다.
_M#]
[#M_4. Starbucks|접기|
4. Starbucks
Starbucks사는 소규모 커피 농업인에게 시장가격보다 조금 더 비싸게 원두 값을 지불하여도 그것이 농업인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키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전세계 Starbucks의 수석 부사장을 맡고 있는 Vivek Varma는 “만일 우리 회사가 원두 농업인과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면 그들은 매우 좋은 품질의 원두를 생산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거대한 체인은 근래에 공정거래를 통한 원두의 구입을 이전의 두 배인 4천만 파운드까지 늘렸고 2015년 까지 구매량을 점차 증가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Starbucks사는 파트타임 근무자에게도 의료보험 혜택을 제공하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전 직원이 함께 40만 시간의 사회봉사를 하였다.
_M#]
[#M_5. Cadbury|접기|
5. Cadbury
많은 영국인들은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Cadbury의 초콜릿 바를 맛보면서 자라났다. 따라서 그 포장지에 “공정무역”이라는 새로운 단어가 추가된 것에 영국인들은 많은 관심을 보였다. 향후 10년 이상 Cadbury사는 가나(Ghana)의 카카오 농민들의 수입을 보장하고 그 지역의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약 75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세계 공정무역상표기구의 인증을 받은 첫 번째 거대 캔디 회사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세계 공정무역상표기구의 인증은 서양의 큰 회사들이 개발도상국의 소규모 농업인의 수입을 보장하고 더 공정한 거래를 성사시키려 노력할 때 받을 수 있다. Cadbury사는 제조과정에서 포장과 공업용수, 그리고 화석연료의 사용을 대폭 줄이려는 운동을 펼치고 있다. 예전에 Cadbury사를 비난의 대상으로 골랐던 몇몇 활동가들은 이제 시간이 된 거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전의 것과 동일한 가격과 맛을 가지고 단지 “공정무역”의 표지를 단 초콜릿 바에 보인 소비자들의 열정을 볼 때, 사회환원적인 방침을 현명히 세운다면 이를 훌륭한 판매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_M#]
[#M_6. Sonal Shah|접기|
6. Sonal Shah
Sonal Shah이 이전에 Goldman Sachs와 Google.org에서 보여준 업무를 보면 그녀는 환경, 사회문제를 제기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단체를 후원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다. 현재 그녀는 백악관에서 사회발전과 시민운동촉진 관련 부서의 장으로서, 국가의 비영리단체와 사회운동 촉진을 위한 5천만 달러의 예산을 관장하고 있다. 그녀는 “국가가 처음부터 비영리단체를 설립하고 그것의 활동을 관장하는 것 보다, 이미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들이 좀더 혁신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낫다”라고 말한다. 비록 그녀의 새로운 직장은 관료주의적이지만 꿈은 창의적인 해결책이 용솟음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_M#]
[#M_7. Rebecca Hosking|접기|
7. Rebecca Hosking
Rebecca Hosking씨에게 “자루부인”이라는 호칭은 매우 명예로운 것이다. 2006년 그녀는 북대서양의 Midway섬에 있을 때 수백 마리의 알바트로스가 자신의 위에 비닐 봉지를 먹고 죽어 있는 것을 보았다. 그녀는 이에 놀라 자신의 본거지인 영국의 Modbury에 돌아가 그 지역의 43명의 모든 소매상인들에게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득하여 비닐봉지의 사용을 막았고 이는 전국으로 퍼져 영국의 최소 80개의 다른 지역도 이를 따라 하였다. 이를 통해 영국에서 1년에 2억 개의 봉지가 버려지는 것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_M#]
[#M_8. Kickstart |접기|
8. Kickstart
사회운동가였던 Martin Fisher씨와 Nick Moon씨는 18년 전 Kickstart를 설립하면서 이전에 다른 기업이 가난한 아프리카인에게 관개용 펌프를 판매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그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전환하였다. 무상 제공으로 인해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아프리카인들이 제공받은 펌프로 더욱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면서 다른 농기계를 구입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제품을 판매할 수 있었다. MoneyMaker라고 잘 이름 지어진 관개용 펌프는 현재까지 아프리카의 8만5천여 가족의 농업수확량을 증가시켜 그들이 가난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심지어 그들 중 성공한 아프리카 가족은 유럽에 소매상을 내어 그들의 물건을 다시 판매하고 있을 정도로 성공적인 사회봉사의 모델이 되고 있다.
_M#]
[#M_9. Daxu |접기|
9. Daxu
중국의 가난한 산악지대의 가족들은 요리와 난방의 목적으로 방대한 양의 나무땔감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가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고 땔감으로 나무가 없어지면서 산림의 황폐화가 심해지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은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국가가 되었다. 이에 베이징 시의 Daxu Bio-energy Technology사는 50달러의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짚이나 곡물찌꺼기를 태우고 이에 발생한 연소가스를 다시 태움으로써 지구온난화와 산림황폐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난로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만 1년에 8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_M#]
[#M_10. PeaceWorks|접기|
10. PeaceWorks
PeaceWorks사는 스스로 자신의 회사를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자랑한다. 창립자 Daniel Lubetzky씨는 이슬라엘과 아랍과 같은 분쟁지역에 자본을 투자하고 동업자 관계를 맺으면서 평화의 씨앗을 심는다. 그리고 그는 호주에서 만든 Kind라는 과자를 팔며 평화로운 지역에도 투자하는데 그 이익금 중 5%를 세계의 평화 공존을 위해 사용한다. 이런 활동을 통해 그는 자신 스스로 현명한 자본주의자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실현하고 있다.
_M#]
[#M_11. Embrace |접기|
11. Embrace
전기나 인큐베이터를 사용하기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저개발 국가의 수백만의 미숙아를 위해 Embrace사는 끓는 물에 잠시 가열하면 4시간 동안 사람의 체온을 유지시켜주는 미숙아용 침낭을 개발하였다. 이 회사는 Stanford 대학교 학생들이 비영리단체로 설립한 것이었다. 그들은 이 조그만 침낭을 병원 관련 봉사자나 NGO 그리고 인도의 산모들에게 25달러라는 저렴한 가격에 판매할 계획이다.
_M#]
[#M_12. Better World Book|접기|
12. Better World Book
대학교나 도서관에서 필요없는 책들을 모아 그것을 인터넷 상에서 팔고 그 수익금을 다시 기부하는 이 단체의 운영방식은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 받는다. 이들이 기부한 금액은 다시 사람들이 다양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돕는데 사용하면서 잠재적인 소비자들을 생산해낸다. 2002년에 설립된 이 단체는 3백만 권의 다양한 책을 소유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판매로 인디애나 주를 제외한 전 미국에 책을 무료로 배송하고 있다.
_M#]
[#M_13. LaDonna Redmond |접기|
13. LaDonna Redmond
LaDonna Redmond씨는 자유권 투쟁의 일부로 시카고 남부에 유기농 농산물 상점을 개업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녀는 10년간 도시를 돌아다니면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농산물을 찾으려 노력하다가 결국 최근에 Graffiti and Grub이라는 유기농 농산물 전문점을 열었다. 이 상점의 직원들 또한 상점에서 운영하는 고용 프로그램의 일부인 도시 농장에서 일하는 도시 청년이다. 이 상점을 열면서 그녀는 “이 도시의 남부에는 이런 유기농 농산물을 찾기 어렵지만 모든 이는 건강한 음식을 먹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_M#]
[#M_14. Nidan |접기|
14. Nidan
사회학 학위와 이상주의의 소유자인 Arbind Singh씨는 1995년 Nidan을 설립했다. 이 인도 북부의 비영리단체는 조직화된 6만 명의 노점 상인과 다른 19개의 협동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자원을 모이도록 유지하고, 저금리의 신용을 지키고 있다. “이익을 위해 일하되 이익을 다시 활용한다”는 이들의 정신은 환경미화원을 쓰레기 관리자의 위치로 올라설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하면서도 가난한 사람들은 기술뿐만 아니라 그를 개선하려는 의지가 약하다는 것이 Arbind Singh씨의 지론이다. 그는 이 부족한 연결고리들을 이어줌으로써 가난한 노무자들이 일어설 수 있도록 돕고 있다.
_M#]
[#M_15. Walmart |접기|
15. Walmart
무자비하기로 유명했던 이 회사는 환경보호론자의 모델을 따라 회사의 모든 점포와 점포에 납품하는 10만개의 도매상들까지 환경 보호에 나서도록 할 만큼 놀라운 변화를 하고 있다. Walmart는 올해 7월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침을 공개하면서 위와 같은 시도에 힘을 더하고 있다. 이 지침은 납품업체를 에너지 사용과 노동력 사용에 관한 문제들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들의 목표는 소비자들에게 상품이 얼마나 친환경적인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Walmart에서 이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Matt Kistler는 이것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고 또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는 생각에 시작하였다고 한다.
_M#]
[#M_16. Cleanfish |접기|
16. Cleanfish
환경운동가인 Tim O’Shea씨와 수산물 업계에 종사하던 Dale Sims씨는 서로 합심하여 현재 일어나고 있는 파괴적이고 근시안적인 수산업계의 행태를 바로잡기 위해 CleanFish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의 San Francisco 지부는 환경보호에 관심이 있는 30개의 양식장과 수선업협동조합에게 그들의 작업을 개선하고 중개상을 연결함으로써 그들이 어종의 보호를 위해 계속 일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CleanFish의 노력을 통해 어종의 수와 양이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_M#]
[#M_17. Acumen|접기|
17. Acumen
탄자니아의 침대망 제조업체와 파키스탄의 빗물 관개 공사업체, 아프리카의 다른 33개국에 3천8백만 달러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Acumen Fund는 비영리단체라기보다는 투자회사와 같다. 이 펀드의 CEO인 Jacqueline Novogratz씨는 2001년 뉴욕에서 이 펀드를 시작하였다. 그녀는 시장과 정부 사이에 인내심있는 자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매우 인내심있게 기다려서 단지 최근에야 몇몇 투자를 회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Acumen의 방식은 개발원조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_M#]
[#M_18. D.light Design|접기|
18. D.light Design
즐거운 이름을 가진 이 회사는 이름과는 달리 심오한 일을 한다. D.light Design사는 전기가 부족해 이를 대체하기 위해 등유를 태워 많은 유해한 연소가스를 생산하는 세계 12개국 이상의 나라에 10~25달러의 저렴한 가격의 태양 램프를 판매한다. 이 회사의 최신 모델은 휴대폰도 충전시킬 수 있을 정도로 효율적이라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CEO중 한사람인 Sam Goldman씨의 목표는 지금의 판매가격보다 더 저렴하게 생산하는 것을 찾는 것이다. 물론 처음에 이를 생산하였을 때의 가격은 실수요자들이 구매할 수 없을 정도의 비싼 가격이었지만 그는 현재의 10달러라는 가격보다 더 싸게 공급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_M#]
[#M_19. Katie Fewings |접기|
19. Katie Fewings
결혼식 비용은 만만치 않다. Katie Fewings씨는 왜 좀 더 지구 환경을 생각한 결혼식 물품에 사람들이 돈을 쓰지 않는지 의아했다. 2005년 영국에서 있었던 그녀의 결혼식은 공정거래인증을 받은 와인과 지역에서 유기농 포플린으로 만든 가운을 사용하면서 그녀는 이런 생각을 하였다고 한다.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노동력 착취를 하지 않는 드레스 생산자와 환경을 생각하는 꽃가게를 돕기 위해 Ethicalweddings.com이라는 홈페이지를 열었고, 매달 만 명의 방문자가 방문하면서 그녀의 생각에 따라 환경을 생각하고 공정거래를 지키며 노동자 보호에 일조하고 있다.
_M#]
[#M_20. Ashoka|접기|
20. Ashoka
Ashoka사는 매년 3천만 달러의 예산을 사업에 사용하기보다 혁신적인 사람들에게 투자하고 있다. McKinsey에서 상담가로 일하던 Diana Wells는 1980년에 미국을 주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를 설립하였고 지금까지 거의 2500명에 달하는 사회 창업가(사회를 변화시키거나 사람들에게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 빈곤을 타파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가)에게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Diana Wells의 목표는 전세계 모든 사람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_M#]
[#M_21. Amy Domini|접기|
21. Amy Domini
1984년 Amy Domini씨는 “윤리적 투자”라는 책으로 월 스트리트에 파문을 일으켰다. 그때부터 그녀는 기업의 임원진과 함께 일하면서 주주결의안을 변경함으로써 기업의 윤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녀의 노력이 빛을 발하면서 윤리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사회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회사에 투자하지 않는 그녀의 펀드에 15억 투자자들이 달러라는 방대한 돈을 맡긴다. 그녀의 투자 신조는 “지구라는 행성의 미래는 투자 수익률 보고 보다 중요하다”와 같이 간단하다.
_M#]
[#M_22. Melissa Schweisguth |접기|
22. Melissa Schweisguth
Melissa Schweisguth씨는 2006년부터 아무런 쓰레기를 버리지 않았다. 이 대단한 환경보호론자는 Hershey사의 사업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고 현재 유기농 음식 제조회사와 탄소의 배출을 줄이고 빗물을 재활용하며 포장이 안된 식품을 판매하는 방법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오레곤 주에 살고 있는 그녀는 외식을 하면서도 자신의 식기와 냅킨을 들고 다닐 정도로 쓰레기를 만들려 하지 않는다. 그녀는 발생한 쓰레기들은 다시 퇴비로 만들거나 재활용하고 심지어는 베개의 속을 채우는데 사용한다. 그녀는 “나의 가치에 합당하는 인생을 살고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삶에 자부심을 표현한다.
_M#]
[#M_23. Gap|접기|
23. Gap
Gap사는 패션계에서 알아주는 거물급 기업이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이 회사는 소매점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20% 줄이는데 성공하였다. 약 10년 전 아동노동 제한 규정을 어긴 것을 인정한 이후 과거의 오점을 깨끗이 지우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것이 현재 빛을 발하고 있다. Gap사의 사회 봉사 담당 부서장인 Dan Henkle은 회사가 소매상과 납품업체를 감시하면서 사회에 봉사하도록 하는 것에서 벗어나 오히려 그들이 회사가 과거의 문제를 다시 일으키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조언을 해줄 정도로 적극적이라고 극찬한다.
_M#]
[#M_24. General Electric|접기|
24. General Electric
GE사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노력을 미래의 돈벌이로 생각한다. 수석부사장 Beth Comstock은 “Green is green”이라고 말하며 녹색성장을 강조했다. 2005년에 시작한 GE의 “ecomagination” 연구소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해 2008년에 2007년에 비해 21%가 상승한 170억 달러의 수익을 얻었다. 이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화학 폐기물을 버리던 회사가 친환경적으로 돌어서기는 어려웠지만 Comstock씨가 주장하듯, ecomagination은 GE그룹을 고객의 편에 서도록 만들었다.
_M#]
[#M_25. Interface|접기|
25. Interface
1994년 카펫 제조사인 Interface의 창업자인 Ray Anderson씨는 회사의 환경계획 부서의 계획안이 환경 보호에 관한 실제적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불만을 가졌다고 한다. 그때부터 Anderson씨는 Interface사를 지속가능한 성장의 선구자로서 탈바꿈시키기 위해 천연 원료를 사용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한 직물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좀더 높은 수준의 결과 즉, 기업의 이미지가 좋아져 소비자들이 Interface사를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는 회사라고 인지하게 되었다고 현재 이 회사의 CEO인 Dan Hendrix씨는 말한다.
_M#]
(자원봉사자인 서울대학교 4학년 박미지 님이 번역해주셨습니다.)
자원활동가께서 전문을 번역해주셔서 올려둡니다.
[#M_1. RecycleBank |접기|1. RecycleBank
지금까지 RecycleBank사는 미국 20개 주에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등록받아 지구를 살리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돈을 지급하고 있다. Columbia 비즈니스 학교에 다니던 2004년 이 사회봉사기업을 공동 설립한 Ron Gonen은 “우리회사의 계획은 재활용하는 것을 경제적으로 매력적인 것으로 바꾸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재활용 프로그램에 등록한 사람들은 재활용 용기를 받는데 이 용기에 심어져 있는 컴퓨터 칩이 자동적으로 재활용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포인트를 계산해준다. 이 포인트는 Target.com, Bed Bath & Beyond를 포함한 1500개 이상의 소매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는 일년에 약 $400까지 절약할 수 있어 소비자가 재활용에 좀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_M#]
[#M_2. Living Goods |접기|2. Living Goods
Charles Slaughter라는 예일대 경영대학 졸업생이 에이본 레이디(화장품직접판매사원)를 지원하였을 때 그는 화장품이나 스킨로션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단지 그는 그것을 통해 경영 모델을 수집하던 것이었고,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2006년 Living Goods이라는 비영리단체를 만들어 우간다 여성들에게 영업활동을 할 기회를 주었다. 약 $50 정도의 소액자본으로 우간다 여성 판매원은 비누나 말라리아 약과 같은 우간다에 매우 필요한 물품을 싼값에 구매하여 작은 이익만을 보면서 물품을 일반 시민들에게 판매하였다. 정부의 구제나 자선 펀드는 단기적이고 변화무쌍한 반면 Living Goods의 영업방식은 장기간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조직이 우간다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력은 새로운 영업사원을 추가하는 것 이상으로 우간다 국민의 건강증진이라는 효과를 주고 있다. Slaughter는 “당신이 말라리아에 걸렸을 때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없음을 생각하라”고 말한다.
_M#]
[#M_3. Huw Kingston|접기|3. Huw Kingston
Bundanoon는 작고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호주의 소도시이다. 하지만 지역 온천이 생수회사의 이목을 끌게 되자, 그 지역에서 자전거 가게가 딸린 카페를 운영하던 Huw Kinston이 사회운동을 시작하였다. 그는 “생수는 직업으로의 가치보다는 마케팅의 가치가 크다, 왜 생수회사가 우리지역에서 뽑아낸 물을 플라스틱 병에 담아 다시 우리에게 판매하는 것을 용납해야 하는가?”라고 말했다. Kingston씨는 Bundanoon을 세계 최초로 생수를 판매하지 못하는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9월 26일부터 그는 지역 상점에서 병에 담긴 생수를 재사용이 가능한 물병으로 교체하도록 하였다. 겨우 지역에서 12개의 상점만 참여한 아주 미약한 시도였지만, 이것은 세계 언론의 관심을 받으면서 생수산업의 문제점을 밝히는데 일조하였다.
_M#]
[#M_4. Starbucks|접기|4. Starbucks
Starbucks사는 소규모 커피 농업인에게 시장가격보다 조금 더 비싸게 원두 값을 지불하여도 그것이 농업인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키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전세계 Starbucks의 수석 부사장을 맡고 있는 Vivek Varma는 “만일 우리 회사가 원두 농업인과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면 그들은 매우 좋은 품질의 원두를 생산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거대한 체인은 근래에 공정거래를 통한 원두의 구입을 이전의 두 배인 4천만 파운드까지 늘렸고 2015년 까지 구매량을 점차 증가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Starbucks사는 파트타임 근무자에게도 의료보험 혜택을 제공하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전 직원이 함께 40만 시간의 사회봉사를 하였다.
_M#]
[#M_5. Cadbury|접기|5. Cadbury
많은 영국인들은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Cadbury의 초콜릿 바를 맛보면서 자라났다. 따라서 그 포장지에 “공정무역”이라는 새로운 단어가 추가된 것에 영국인들은 많은 관심을 보였다. 향후 10년 이상 Cadbury사는 가나(Ghana)의 카카오 농민들의 수입을 보장하고 그 지역의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약 75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세계 공정무역상표기구의 인증을 받은 첫 번째 거대 캔디 회사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세계 공정무역상표기구의 인증은 서양의 큰 회사들이 개발도상국의 소규모 농업인의 수입을 보장하고 더 공정한 거래를 성사시키려 노력할 때 받을 수 있다. Cadbury사는 제조과정에서 포장과 공업용수, 그리고 화석연료의 사용을 대폭 줄이려는 운동을 펼치고 있다. 예전에 Cadbury사를 비난의 대상으로 골랐던 몇몇 활동가들은 이제 시간이 된 거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전의 것과 동일한 가격과 맛을 가지고 단지 “공정무역”의 표지를 단 초콜릿 바에 보인 소비자들의 열정을 볼 때, 사회환원적인 방침을 현명히 세운다면 이를 훌륭한 판매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_M#]
[#M_6. Sonal Shah|접기|6. Sonal Shah
Sonal Shah이 이전에 Goldman Sachs와 Google.org에서 보여준 업무를 보면 그녀는 환경, 사회문제를 제기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단체를 후원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다. 현재 그녀는 백악관에서 사회발전과 시민운동촉진 관련 부서의 장으로서, 국가의 비영리단체와 사회운동 촉진을 위한 5천만 달러의 예산을 관장하고 있다. 그녀는 “국가가 처음부터 비영리단체를 설립하고 그것의 활동을 관장하는 것 보다, 이미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들이 좀더 혁신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낫다”라고 말한다. 비록 그녀의 새로운 직장은 관료주의적이지만 꿈은 창의적인 해결책이 용솟음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_M#]
[#M_7. Rebecca Hosking|접기|7. Rebecca Hosking
Rebecca Hosking씨에게 “자루부인”이라는 호칭은 매우 명예로운 것이다. 2006년 그녀는 북대서양의 Midway섬에 있을 때 수백 마리의 알바트로스가 자신의 위에 비닐 봉지를 먹고 죽어 있는 것을 보았다. 그녀는 이에 놀라 자신의 본거지인 영국의 Modbury에 돌아가 그 지역의 43명의 모든 소매상인들에게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득하여 비닐봉지의 사용을 막았고 이는 전국으로 퍼져 영국의 최소 80개의 다른 지역도 이를 따라 하였다. 이를 통해 영국에서 1년에 2억 개의 봉지가 버려지는 것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_M#]
[#M_8. Kickstart |접기|8. Kickstart
사회운동가였던 Martin Fisher씨와 Nick Moon씨는 18년 전 Kickstart를 설립하면서 이전에 다른 기업이 가난한 아프리카인에게 관개용 펌프를 판매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그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전환하였다. 무상 제공으로 인해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아프리카인들이 제공받은 펌프로 더욱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면서 다른 농기계를 구입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제품을 판매할 수 있었다. MoneyMaker라고 잘 이름 지어진 관개용 펌프는 현재까지 아프리카의 8만5천여 가족의 농업수확량을 증가시켜 그들이 가난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심지어 그들 중 성공한 아프리카 가족은 유럽에 소매상을 내어 그들의 물건을 다시 판매하고 있을 정도로 성공적인 사회봉사의 모델이 되고 있다.
_M#]
[#M_9. Daxu |접기|9. Daxu
중국의 가난한 산악지대의 가족들은 요리와 난방의 목적으로 방대한 양의 나무땔감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가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고 땔감으로 나무가 없어지면서 산림의 황폐화가 심해지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은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국가가 되었다. 이에 베이징 시의 Daxu Bio-energy Technology사는 50달러의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짚이나 곡물찌꺼기를 태우고 이에 발생한 연소가스를 다시 태움으로써 지구온난화와 산림황폐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난로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만 1년에 8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_M#]
[#M_10. PeaceWorks|접기|10. PeaceWorks
PeaceWorks사는 스스로 자신의 회사를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자랑한다. 창립자 Daniel Lubetzky씨는 이슬라엘과 아랍과 같은 분쟁지역에 자본을 투자하고 동업자 관계를 맺으면서 평화의 씨앗을 심는다. 그리고 그는 호주에서 만든 Kind라는 과자를 팔며 평화로운 지역에도 투자하는데 그 이익금 중 5%를 세계의 평화 공존을 위해 사용한다. 이런 활동을 통해 그는 자신 스스로 현명한 자본주의자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실현하고 있다.
_M#]
[#M_11. Embrace |접기|11. Embrace
전기나 인큐베이터를 사용하기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저개발 국가의 수백만의 미숙아를 위해 Embrace사는 끓는 물에 잠시 가열하면 4시간 동안 사람의 체온을 유지시켜주는 미숙아용 침낭을 개발하였다. 이 회사는 Stanford 대학교 학생들이 비영리단체로 설립한 것이었다. 그들은 이 조그만 침낭을 병원 관련 봉사자나 NGO 그리고 인도의 산모들에게 25달러라는 저렴한 가격에 판매할 계획이다.
_M#]
[#M_12. Better World Book|접기|12. Better World Book
대학교나 도서관에서 필요없는 책들을 모아 그것을 인터넷 상에서 팔고 그 수익금을 다시 기부하는 이 단체의 운영방식은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 받는다. 이들이 기부한 금액은 다시 사람들이 다양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돕는데 사용하면서 잠재적인 소비자들을 생산해낸다. 2002년에 설립된 이 단체는 3백만 권의 다양한 책을 소유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판매로 인디애나 주를 제외한 전 미국에 책을 무료로 배송하고 있다.
_M#]
[#M_13. LaDonna Redmond |접기|13. LaDonna Redmond
LaDonna Redmond씨는 자유권 투쟁의 일부로 시카고 남부에 유기농 농산물 상점을 개업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녀는 10년간 도시를 돌아다니면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농산물을 찾으려 노력하다가 결국 최근에 Graffiti and Grub이라는 유기농 농산물 전문점을 열었다. 이 상점의 직원들 또한 상점에서 운영하는 고용 프로그램의 일부인 도시 농장에서 일하는 도시 청년이다. 이 상점을 열면서 그녀는 “이 도시의 남부에는 이런 유기농 농산물을 찾기 어렵지만 모든 이는 건강한 음식을 먹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_M#]
[#M_14. Nidan |접기|14. Nidan
사회학 학위와 이상주의의 소유자인 Arbind Singh씨는 1995년 Nidan을 설립했다. 이 인도 북부의 비영리단체는 조직화된 6만 명의 노점 상인과 다른 19개의 협동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자원을 모이도록 유지하고, 저금리의 신용을 지키고 있다. “이익을 위해 일하되 이익을 다시 활용한다”는 이들의 정신은 환경미화원을 쓰레기 관리자의 위치로 올라설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하면서도 가난한 사람들은 기술뿐만 아니라 그를 개선하려는 의지가 약하다는 것이 Arbind Singh씨의 지론이다. 그는 이 부족한 연결고리들을 이어줌으로써 가난한 노무자들이 일어설 수 있도록 돕고 있다.
_M#]
[#M_15. Walmart |접기|15. Walmart
무자비하기로 유명했던 이 회사는 환경보호론자의 모델을 따라 회사의 모든 점포와 점포에 납품하는 10만개의 도매상들까지 환경 보호에 나서도록 할 만큼 놀라운 변화를 하고 있다. Walmart는 올해 7월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침을 공개하면서 위와 같은 시도에 힘을 더하고 있다. 이 지침은 납품업체를 에너지 사용과 노동력 사용에 관한 문제들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들의 목표는 소비자들에게 상품이 얼마나 친환경적인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Walmart에서 이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Matt Kistler는 이것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고 또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는 생각에 시작하였다고 한다.
_M#]
[#M_16. Cleanfish |접기|16. Cleanfish
환경운동가인 Tim O’Shea씨와 수산물 업계에 종사하던 Dale Sims씨는 서로 합심하여 현재 일어나고 있는 파괴적이고 근시안적인 수산업계의 행태를 바로잡기 위해 CleanFish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의 San Francisco 지부는 환경보호에 관심이 있는 30개의 양식장과 수선업협동조합에게 그들의 작업을 개선하고 중개상을 연결함으로써 그들이 어종의 보호를 위해 계속 일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CleanFish의 노력을 통해 어종의 수와 양이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_M#]
[#M_17. Acumen|접기|17. Acumen
탄자니아의 침대망 제조업체와 파키스탄의 빗물 관개 공사업체, 아프리카의 다른 33개국에 3천8백만 달러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Acumen Fund는 비영리단체라기보다는 투자회사와 같다. 이 펀드의 CEO인 Jacqueline Novogratz씨는 2001년 뉴욕에서 이 펀드를 시작하였다. 그녀는 시장과 정부 사이에 인내심있는 자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매우 인내심있게 기다려서 단지 최근에야 몇몇 투자를 회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Acumen의 방식은 개발원조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_M#]
[#M_18. D.light Design|접기|18. D.light Design
즐거운 이름을 가진 이 회사는 이름과는 달리 심오한 일을 한다. D.light Design사는 전기가 부족해 이를 대체하기 위해 등유를 태워 많은 유해한 연소가스를 생산하는 세계 12개국 이상의 나라에 10~25달러의 저렴한 가격의 태양 램프를 판매한다. 이 회사의 최신 모델은 휴대폰도 충전시킬 수 있을 정도로 효율적이라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CEO중 한사람인 Sam Goldman씨의 목표는 지금의 판매가격보다 더 저렴하게 생산하는 것을 찾는 것이다. 물론 처음에 이를 생산하였을 때의 가격은 실수요자들이 구매할 수 없을 정도의 비싼 가격이었지만 그는 현재의 10달러라는 가격보다 더 싸게 공급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_M#]
[#M_19. Katie Fewings |접기|19. Katie Fewings
결혼식 비용은 만만치 않다. Katie Fewings씨는 왜 좀 더 지구 환경을 생각한 결혼식 물품에 사람들이 돈을 쓰지 않는지 의아했다. 2005년 영국에서 있었던 그녀의 결혼식은 공정거래인증을 받은 와인과 지역에서 유기농 포플린으로 만든 가운을 사용하면서 그녀는 이런 생각을 하였다고 한다.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노동력 착취를 하지 않는 드레스 생산자와 환경을 생각하는 꽃가게를 돕기 위해 Ethicalweddings.com이라는 홈페이지를 열었고, 매달 만 명의 방문자가 방문하면서 그녀의 생각에 따라 환경을 생각하고 공정거래를 지키며 노동자 보호에 일조하고 있다.
_M#]
[#M_20. Ashoka|접기|20. Ashoka
Ashoka사는 매년 3천만 달러의 예산을 사업에 사용하기보다 혁신적인 사람들에게 투자하고 있다. McKinsey에서 상담가로 일하던 Diana Wells는 1980년에 미국을 주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를 설립하였고 지금까지 거의 2500명에 달하는 사회 창업가(사회를 변화시키거나 사람들에게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 빈곤을 타파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가)에게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Diana Wells의 목표는 전세계 모든 사람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_M#]
[#M_21. Amy Domini|접기|21. Amy Domini
1984년 Amy Domini씨는 “윤리적 투자”라는 책으로 월 스트리트에 파문을 일으켰다. 그때부터 그녀는 기업의 임원진과 함께 일하면서 주주결의안을 변경함으로써 기업의 윤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녀의 노력이 빛을 발하면서 윤리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사회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회사에 투자하지 않는 그녀의 펀드에 15억 투자자들이 달러라는 방대한 돈을 맡긴다. 그녀의 투자 신조는 “지구라는 행성의 미래는 투자 수익률 보고 보다 중요하다”와 같이 간단하다.
_M#]
[#M_22. Melissa Schweisguth |접기|22. Melissa Schweisguth
Melissa Schweisguth씨는 2006년부터 아무런 쓰레기를 버리지 않았다. 이 대단한 환경보호론자는 Hershey사의 사업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고 현재 유기농 음식 제조회사와 탄소의 배출을 줄이고 빗물을 재활용하며 포장이 안된 식품을 판매하는 방법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오레곤 주에 살고 있는 그녀는 외식을 하면서도 자신의 식기와 냅킨을 들고 다닐 정도로 쓰레기를 만들려 하지 않는다. 그녀는 발생한 쓰레기들은 다시 퇴비로 만들거나 재활용하고 심지어는 베개의 속을 채우는데 사용한다. 그녀는 “나의 가치에 합당하는 인생을 살고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삶에 자부심을 표현한다.
_M#]
[#M_23. Gap|접기|23. Gap
Gap사는 패션계에서 알아주는 거물급 기업이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이 회사는 소매점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20% 줄이는데 성공하였다. 약 10년 전 아동노동 제한 규정을 어긴 것을 인정한 이후 과거의 오점을 깨끗이 지우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것이 현재 빛을 발하고 있다. Gap사의 사회 봉사 담당 부서장인 Dan Henkle은 회사가 소매상과 납품업체를 감시하면서 사회에 봉사하도록 하는 것에서 벗어나 오히려 그들이 회사가 과거의 문제를 다시 일으키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조언을 해줄 정도로 적극적이라고 극찬한다.
_M#]
[#M_24. General Electric|접기|24. General Electric
GE사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노력을 미래의 돈벌이로 생각한다. 수석부사장 Beth Comstock은 “Green is green”이라고 말하며 녹색성장을 강조했다. 2005년에 시작한 GE의 “ecomagination” 연구소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해 2008년에 2007년에 비해 21%가 상승한 170억 달러의 수익을 얻었다. 이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화학 폐기물을 버리던 회사가 친환경적으로 돌어서기는 어려웠지만 Comstock씨가 주장하듯, ecomagination은 GE그룹을 고객의 편에 서도록 만들었다.
_M#]
[#M_25. Interface|접기|25. Interface
1994년 카펫 제조사인 Interface의 창업자인 Ray Anderson씨는 회사의 환경계획 부서의 계획안이 환경 보호에 관한 실제적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불만을 가졌다고 한다. 그때부터 Anderson씨는 Interface사를 지속가능한 성장의 선구자로서 탈바꿈시키기 위해 천연 원료를 사용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한 직물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좀더 높은 수준의 결과 즉, 기업의 이미지가 좋아져 소비자들이 Interface사를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는 회사라고 인지하게 되었다고 현재 이 회사의 CEO인 Dan Hendrix씨는 말한다.
_M#]
(자원봉사자인 서울대학교 4학년 박미지 님이 번역해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