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하는 시민행동에서 버마(미얀마)에 라디오를 보내는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
1. 함께하는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11월 14일부터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이하 ‘피스라디오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피스라디오 캠페인은 현재 국부 독재 하에 있는 버마(미얀마)의 국경지대에 라디오를 보내는 캠페인입니다.
2. 현재 국부독재에 의해서 정보가 차단되어 있고 가난 등의 이유로 라디오를 원활히 듣지 못하는 국경지대 버마인들에게 버마의 내`외부 소식을 전해들을 수 있도록 하여 버마 민주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3. 캠페인은 11월 14일을 기점으로 시작하여 12월 말까지 모금활동을 통해 모아진 돈으로 태국 현지에서 라디오를 구입하여 1월에 전달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전달하는 과정에서 태국 국경지대에 있는 한국 단체와 버마 민주화 운동 단체가 함께할 예정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 자료를 참고해 주세요.)
4. 버마 민주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캠페인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첨부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 계획안 1부
첨부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 계획안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안) 】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이란?
기나긴 군부독재 아래에서도 민주화의 열망을 품고 있는 버마 국민들은 지난 2007년 9월 약 10여년만에 또다시 대규모 민주화 투쟁을 벌였습니다. 그러나 군부의 강력한 탄압으로 시위는 현재 소강상태에 머물러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한국의 시민들이 버마의 민주화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은 가능한 한 많은 정보가 소통될 수 있도록 돕는 일입니다.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은 이렇듯 버마 국내의 열악한 상황을 피해 국경지대로 나와 있는 많은 버마 시민들이 민주화의 메시지가 담긴 라디오 채널들을 들을 수 있도록 라디오 기기를 보내는 캠페인입니다.
1) 시기 : 11월 초~12월 말( 모금활동 ), 1월 (라디오 전달)
2) 대상 : 버마 민주화 및 아시아 평화에 관심있는 일반 시민
3) 전달 :
대상 : 태국, 인도 등에 있는 버마 국경지대의 버마 일반 시민들
방법
① 버마 국경지대에 있는 버마 민주화 단체와 협력 : 버마 국경지대의 버마인들에게 전달 담당
# 협력 단체 리스트는 아래 참조, 현지 코디: 포럼 아시아 (태국)
② 라디오는 태국 내 현지 조달
③ 피스라디오로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 방송 채널
: DVB(Democratic Voice of Burma), RFA(RadioFreeAsia), BBC
4) 캠페인 전개 방법
① 버마 가디언 (Burmar Guardian)
: 5천원의 후원금과 피스 라디오 블로그(www.peaceradio.kr)에 이름과 메일을 등록하는 후원자를 지칭함.
: 추후 라디오를 보낼 때 후원한 사람의 이니셜이 라디오 포장지에 붙어서 전달 될 것임.
② 홍보대사 : 안치환 (확정) 등
: 현재 몇몇의 홍보대사 추가섭외 中.
③ 광고 및 홍보
: 온라인 배너달기 운동
: 연말 몇 차례 정도의 거리 캠페인 예정
# 라디오 배포 협력단체 리스트 (태국 메솟, 버마 국경지역)
1. Karen Youth Organization (KYO)
2. All Kachin Students and Youth Union(AKSYU)
3. All Arakan Students' and Youths' Congress (AASYC)
4. Kayan New Generation Youth (KNGY)
5. Mon Youth Progressive Organization (MYPO)
6. Zomi Students and Youth Organization (ZSYO)
7. Palaung Youth Network Group(PYNG)
8. Tavoyan Youth Organization (TYO)
9. Democratic Party for a New Society (DPNS)
10. All BurmaStudent'sDemocraticFront(ABSDF)
11.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Liberated Area, Youth )(NLD_LA, Youth)
12. BLSO{BurmaLabourSolidarityOrganization}
13.YCOWO(Yaung Chi Oo Workers Organization)
14. JACBA(Joint Action Committee for BurmaAffairs)
15. HRDP(Human Resourse Development Program).
끝
공동대표 박헌권 윤영진 지현
- 함께하는 시민행동에서 버마(미얀마)에 라디오를 보내는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
1. 함께하는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11월 14일부터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이하 ‘피스라디오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피스라디오 캠페인은 현재 국부 독재 하에 있는 버마(미얀마)의 국경지대에 라디오를 보내는 캠페인입니다.
2. 현재 국부독재에 의해서 정보가 차단되어 있고 가난 등의 이유로 라디오를 원활히 듣지 못하는 국경지대 버마인들에게 버마의 내`외부 소식을 전해들을 수 있도록 하여 버마 민주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3. 캠페인은 11월 14일을 기점으로 시작하여 12월 말까지 모금활동을 통해 모아진 돈으로 태국 현지에서 라디오를 구입하여 1월에 전달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전달하는 과정에서 태국 국경지대에 있는 한국 단체와 버마 민주화 운동 단체가 함께할 예정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 자료를 참고해 주세요.)
4. 버마 민주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캠페인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첨부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 계획안 1부
첨부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 계획안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안) 】
◎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이란?
기나긴 군부독재 아래에서도 민주화의 열망을 품고 있는 버마 국민들은 지난 2007년 9월 약 10여년만에 또다시 대규모 민주화 투쟁을 벌였습니다. 그러나 군부의 강력한 탄압으로 시위는 현재 소강상태에 머물러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한국의 시민들이 버마의 민주화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은 가능한 한 많은 정보가 소통될 수 있도록 돕는 일입니다. 내 이름을 새긴 피스(PEACE) 라디오 캠페인은 이렇듯 버마 국내의 열악한 상황을 피해 국경지대로 나와 있는 많은 버마 시민들이 민주화의 메시지가 담긴 라디오 채널들을 들을 수 있도록 라디오 기기를 보내는 캠페인입니다.
1) 시기 : 11월 초~12월 말( 모금활동 ), 1월 (라디오 전달)
2) 대상 : 버마 민주화 및 아시아 평화에 관심있는 일반 시민
3) 전달 :
대상 : 태국, 인도 등에 있는 버마 국경지대의 버마 일반 시민들
방법
① 버마 국경지대에 있는 버마 민주화 단체와 협력 : 버마 국경지대의 버마인들에게 전달 담당
# 협력 단체 리스트는 아래 참조, 현지 코디: 포럼 아시아 (태국)
② 라디오는 태국 내 현지 조달
③ 피스라디오로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 방송 채널
: DVB(Democratic Voice of Burma), RFA(RadioFreeAsia), BBC
4) 캠페인 전개 방법
① 버마 가디언 (Burmar Guardian)
: 5천원의 후원금과 피스 라디오 블로그(www.peaceradio.kr)에 이름과 메일을 등록하는 후원자를 지칭함.
: 추후 라디오를 보낼 때 후원한 사람의 이니셜이 라디오 포장지에 붙어서 전달 될 것임.
② 홍보대사 : 안치환 (확정) 등
: 현재 몇몇의 홍보대사 추가섭외 中.
③ 광고 및 홍보
: 온라인 배너달기 운동
: 연말 몇 차례 정도의 거리 캠페인 예정
# 라디오 배포 협력단체 리스트 (태국 메솟, 버마 국경지역)
1. Karen Youth Organization (KYO)
2. All Kachin Students and Youth Union(AKSYU)
3. All Arakan Students' and Youths' Congress (AASYC)
4. Kayan New Generation Youth (KNGY)
5. Mon Youth Progressive Organization (MYPO)
6. Zomi Students and Youth Organization (ZSYO)
7. Palaung Youth Network Group(PYNG)
8. Tavoyan Youth Organization (TYO)
9. Democratic Party for a New Society (DPNS)
10. All BurmaStudent'sDemocraticFront(ABSDF)
11.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Liberated Area, Youth )(NLD_LA, Youth)
12. BLSO{BurmaLabourSolidarityOrganization}
13.YCOWO(Yaung Chi Oo Workers Organization)
14. JACBA(Joint Action Committee for BurmaAffairs)
15. HRDP(Human Resourse Development Program).
끝
공동대표 박헌권 윤영진 지현